Today I Learned

[TIL] 23/06/02 AWS Route 53 도메인 설정 후 접속 불가 및 SSL 인증서 문제 해결

jnk1m 2023. 6. 2. 19:13

https를 사용하기 위해 route 53, certificate manager를 통해 SSL 인증서를 설정해줬다. (5/31)

이 과정에서 고대디 -> AWS Route53으로 DNS를 변경했다.

TTL인 48시간이 지났지만 여전히 접속이 안되고 있다.

 

ohouseab.com은 접속이 되지만, www.ohouseab.com은  접속이 안된다.

그리고 ohouseab.com은 https 인증서가 만료되었다고 나온다.

 

글을 쓰다보니 문제점을 발견했는데, route 53에 등록된 호스팅은 영역은 ohouseab.com 뿐이고 www.ohouseab.com이  없다!!

 

 

route 53 호스팅 영역에 들어가서 레코드를 생성해주자.

레코드 이름에는 www를 붙이고, 유형은 A로 설정하면 된다.

 

그리고 중요한건! 별칭 레코드로 설정해서 로드 밸런서를 가르키도록 만들어야 한다.

위와 같이 트래픽 라우팅 대상을 어플리케이션/ 클래식 로드 밸런서에 대한 별칭으로 등록하고

동일한 리전을 고른 다음 로드 밸런서를 골라 저장하면 된다.

 

보다시피 AWS Certificate Manager에는 www.ohouseab.com으로  등록되어 있다..ㅋㅋ

이러니까 문제가 생기지!

*.ohouseab.com, ohouseab.com을 등록해서 다시 인증서를 발급하자

 

그리고 로드 밸런서의 https:443에 해당 인증서를 다시 등록해주면 된다.

 

 

 

 

참고한 링크:

 

Route 53를 사용 중인 도메인에 대한 DNS 서비스로 설정 - Amazon Route 53

Route 53 이름 서버를 사용하도록 현재 DNS 서비스 공급자로 NS 레코드를 업데이트하면 도메인의 DNS 구성이 업데이트됩니다. (이런 업데이트는 마이그레이션하는 DNS 서비스로 설정을 업데이트한다

docs.aws.amazon.com

 

Route53 | HJH 기술블로그

Route53

ghdwlsgur.github.io

 

Route 53를 DNS 서비스로 사용할 때 NXDOMAIN 응답 문제 해결

Amazon Route 53 레코드를 확인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DNS 확인자로부터 NXDOMAIN 응답이 수신되거나 DNS_PROBE_FINISHED_NXDOMAIN 오류가 발생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repost.aws